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불법 감청 정황이 담긴 미국의 1급 기밀 유출 사태로 동맹국들이 발칵 뒤집어졌습니다. <br> <br>미국의 도감청 기술은 상상을 초월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도대체 어디까지 엿볼 수 있는 걸까요? <br> <br>세계를 보다, 전혜정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건물과 25m 떨어진 곳에 감청 장비가 설치됐습니다. <br> <br> 사무실 안을 밝히고 있는 전구. <br> <br> 안에서 흘러나오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연설문 목소리는 그대로 전달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우리는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 겁니다!" <br><br>실내 조명의 미세한 흔들림을 포착해 정보가 새어나가는 겁니다.<br> <br> 이번엔 사무실 컴퓨터 자판을 통해 일급기밀이라고 화면에 입력합니다. <br> <br> 네트워크에 연결되지도 않았지만 밖에 서있는 남성의 스마트폰에똑같은 글자가 전달됩니다. <br><br> 창문이나 벽의 미세한 떨림을 레이저로 감지하는 기술은 이미 해묵은 불법 감청 장치가 됐습니다. <br> <br> 최근 미국에선 컴퓨터나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기기 속 전자파를 감청하는 이른바 '템페스트' 기술이 진화를 거듭하고 있습니다.<br><br> 최근에는 스파이웨어 같은 개인 정보 탈취 프로그램이 주된 감청장비가 됐습니다. <br> <br> 컴퓨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사용이 급증하는 가운데 사용자 몰래 침투한 프로그램이 대화 내용을 실시간으로 빼냅니다.<br> <br>[임종인 /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석좌교수] <br>"해저 케이블도 잠수함을 이용해서 다 태핑(불법감청)하거든요. 스파이웨어가 작동하기 시작하면 암호화 되기 전에 가로채지. 기술적으로는 영화에 나오는 것들이 다 가능하고…" <br><br> 지난 2013년 미국은 동맹국인 독일의 메르켈 당시 총리의 휴대전화를 10년 넘게 도청했고, 덴마크를 지나는 해저 통신케이블을 통해 유럽 정치인들의 통화 내용도 빼냈습니다.<br> <br> 오바마 전 대통령은 더 이상 불법감청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지만, 기밀 문서 100페이지 분량이 유출되면서 또 다시 주요 동맹국의 대화를 몰래 훔쳐봤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.<br> <br>[앵거스 캠벨 / 호주 국방총장] <br>"정보 보안 유지는 동맹국간 신뢰서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. 이번 일은 매우 심각하며…" <br> <br> 테러 방지 등 국익을 위한 첩보 활동이 목적이지만, 일부 기밀이 유출된 우크라이나는 작전 계획을 새로 세워야했습니다. <br> <br>[올렉시 레즈니코우 / 우크라이나 국방장관] <br>"진실과 거짓이 혼재돼 있어요. 심리전을 위해 의도적으로 유출한 겁니다." <br> <br> 재래식 전투만큼 첩보전이 중요해지는 가운데 국익과 동맹 관계의 사이에서 각국은 미묘한 줄다리기를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세계를보다, 전혜정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강승희 <br>영상편집: 배시열<br /><br /><br />전혜정 기자 hye@ichannela.com